경제 고환율과 유가 상승으로 들썩이는 생활 물가..스테그플레이션 우려까지..
페이지 정보
본문
고환율과 유가 상승으로 인해 생활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개월 연속 2%대 오름세를 기록했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국내 정책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스태그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물가 상승)’ 우려까지 나온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1월(2.2%)에 이어 두 달 연속 2%대 상승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6%, 10월 1.3%, 11월 1.5%, 12월 1.9%로 점진적인 오름세를 보이다 올해 2%대에 진입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고환율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며 2%대로 올라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오른 주요 원인으로는 유가·환율 상승이 꼽힌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 중후반까지 치솟았다.
이는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5.22다.
지난해 12월보다 2.3% 올랐다.
지난 10월 2.1% 상승한 이후 4개월 연속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유가나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은 소비재 가격 상승을 통해 즉각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중간재, 자본재 등의 수입물가 상승 역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물가는 오르는데 성장은 더디다.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은 암울한 한국 경제의 위기 상황을 보여준다.
지난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2%에 그쳤다.
4분기 성장률은 전망치 0.5%를 크게 밑돈 0.1%를 기록했다.
올해 전망은 더욱 어둡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달 11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낮췄다.
한은도 지난달 25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대폭 내려 잡았다.
JP모건, 씨티, 골드만삭스, UBS 등 해외 투자은행(IB)의 예측 수치도 1.2~1.9%로 비관적이다.
- 이전글해군, 북 잠수함 원거리 탐지 및 공격 가능한 MH-60R 해상작전헬기 실전 배치.. 25.03.07
- 다음글한국경제, 극도의 위기감에 내몰린 기업들..기업 96.9%가 경제위기 예감.. 25.0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시 돌기 시작한 윤석열 김건희 부부의 범죄혐의 사건 …
해울그룹 2025-04-26
-
김정은이 자랑하던 평양 53층 아파트, 10년만에 붕괴…
해울그룹 2025-04-26
-
'법의 날'에 되새겨 보는 그 한마디..'사람에게 충성…
해울그룹 2025-04-25
-
서울고검, 김건희의 자본시장법 위반 항고 사건에 대해 …
해울그룹 2025-04-26
-
문재인 전 대통령,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
해울그룹 2025-04-25
-
대장동 사건 정영학 회계사, 검찰압박에 의한 진술이었다…
해울그룹 2025-04-26
-
민주당 호남권 경선 1위 이재명 88.7%..김동연·김…
해울그룹 2025-04-26
-
서울 코엑스 2층 식당에서 화재, 큰 불 끄고 현재 잔…
해울그룹 2025-04-25
-
SF공상영화가 현실로..우크라 전쟁에 등장한 로봇 무기…
해울그룹 2025-04-26
-
강원 철원군 중부전선 최전방 감시초소 GP에서 예기치 …
해울그룹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