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사업 구간에 멸종위기 생물 '흰발농게' 집단으로 서식 확인....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환경 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사업 구간에 멸종위기 생물 '흰발농게' 집단으로 서식 확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4-21 10:28

본문

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사업 구간에서 서식이 확인된 멸종위기 생물 흰발농게...

▲인천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사업 구간에서 서식이 확인된 멸종위기 생물 흰발농게...



인천 송도국제도시 유수지와 수로를 하나로 연결하는 워터프런트 사업 구간에 멸종위기 생물이 집단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송도 워터프런트 1-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인 아암유수지 일대에서 멸종위기종 흰발농게가 발견돼 보호 대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b12b1a1342ef71c4df4d22d5ecefa7d4_1745199367_2895.jpg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해 흰발농게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고 최근 포획과 이주 작업을 위한 사전 정밀 조사를 2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1차 조사에서는 아암유수지 일대 5개 지점에서 흰발농게 800여마리가 나왔고 2차 조사에서는 같은 지점에서 1천100여마리가 발견됐다.


포획 대상은 1∼2차 조사 결과 최대 개체 수인 1천100여마리 수준이며, 이주 작업은 번식기(6∼8월)를 피해 진행될 예정이다.


흰발농게는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갯벌에 드물게 서식하며 수컷의 경우 한쪽 집게다리가 유난히 크고 하얀 게 특징이다.


갯벌 매립을 비롯한 각종 연안 개발로 서식지를 잃고 개체 수가 급감하면서 멸종 위기에 놓였다.


b12b1a1342ef71c4df4d22d5ecefa7d4_1745199529_5184.jpg
 

인천녹색연합 관계자는 "흰발농게가 이주 후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지 면밀한 검토와 관리가 필요하다"며 "개발에 초점을 맞춰 성급하게 조치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경제청은 올해 상반기 안으로 한강유역환경청에 흰발농게 포획을 위한 허가를 받아 본격적인 이주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포획·이주 대책으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워터프런트 사업은 현재 다른 구간의 공사가 먼저 진행 중이어서 전체 공정에 큰 차질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터프런트 1-2단계 사업은 총사업비 2천522억원을 들여 아암유수지와 송도 6공구 인공호수를 연결하는 북측 수로 등을 건설하는 게 핵심이다.


6공구 인공호수와 북측 연결 수로 주변에는 산책로, 전망대, 분수, 조형물 등을 갖춘 친수 공간이 마련된다.


인천경제청은 지난달부터 6공구 호수에 5천마력급 대형 펌프준설선을 투입해 준설 공사를 진행 중이다.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은 전체 길이 21.17㎞, 폭 40∼500m 규모로, 1∼2단계로 나눠 추진되고 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