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무안공항 조류 충돌 비율 전국 1위, 다시 조명되는 버드스트라이크..
페이지 정보
본문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초대형 항공참사의 원인으로 조류충돌(버드 스트아이크)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실제 이번 제주항공 대참사는 ‘조류 충돌’ 가능성이 여러 증언과 기록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관제탑이 착륙 6분 전에 “새 떼 이동 조심”을 알렸고, 곧 기체 한쪽 엔진에서 폭발이나 연기가 목격됐다는 점이 대표적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사고가 난 무안공항은 전국 14개 지방공항 중 조류 충돌 발생률이 가장 높다는 통계도 확인됐습니다.
운항 1만 편당 9번꼴(0.09%)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겁니다.
실제로 2019년 이후 무안공항 조류 충돌은 10건에 이르지만, 이 시기 전체 항공기 운항 횟수는 1만1000여 편에 그쳐 발생 비율이 타 공항보다 높았습니다.
무안공항 주변에는 갈대밭과 갯벌, 논·습지 등 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곳곳에 형성돼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공항 건설 초기부터 “조류 충돌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열화상 탐지기나 레이더와 같은 전문적인 조류탐지 장비가 무안공항에 설치되지 않은 점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실제로 일부 공항(김포·김해·제주)에만 열화상 탐지기가 도입됐을 뿐, 조류탐지레이더는 국내 어느 공항에도 전무한 상태입니다.
조류퇴치 전담 인력도 부족합니다.
무안공항은 4명 정도 배치돼 있는데, 서울 김포 23명·제주 20명·김해 16명 등 대형 공항과 비교하면 훨씬 적었다는 것입니다.
조류충돌은 항공기 운항에 장애가 되는 큰 위험요소로 좀 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했는데, 사고 후에야 문제제기가 되고 있다는 것은 많은 아쉬움을 남기게 합니다.
- 이전글법원,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체포영장 발부 24.12.31
- 다음글법원, 윤석열 체포 여부 곧 결정할 듯..30시간 가까이 심사 중.. 24.12.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서울고검, 김건희의 자본시장법 위반 항고 사건에 대해 …
해울그룹 2025-04-26
-
강원 철원군 중부전선 최전방 감시초소 GP에서 예기치 …
해울그룹 2025-04-26
-
김정은이 자랑하던 평양 53층 아파트, 10년만에 붕괴…
해울그룹 2025-04-26
-
대장동 사건 정영학 회계사, 검찰압박에 의한 진술이었다…
해울그룹 2025-04-26
-
다시 돌기 시작한 윤석열 김건희 부부의 범죄혐의 사건 …
해울그룹 2025-04-26
-
서울 코엑스 2층 식당에서 화재, 큰 불 끄고 현재 잔…
해울그룹 2025-04-25
-
문재인 전 대통령,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도서…
해울그룹 2025-04-25
-
SF공상영화가 현실로..우크라 전쟁에 등장한 로봇 무기…
해울그룹 2025-04-26
-
강원 인제군 산불 확산, 서울~양양 고속도로 전면 통제…
해울그룹 2025-04-27
-
민주당 호남권 경선 1위 이재명 88.7%..김동연·김…
해울그룹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