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비자물가 상승률 5개월만에 최대폭, 1년전보다 2.2% 상승..
페이지 정보
본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다.
통계청이 2월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로 주춤한 뒤 10월에 1.3%까지 떨어졌다.
이후 반등해 11월 1.5%·12월 1.9%를 기록했고 올해 1월에는 2%를 넘어섰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와 환율이 모두 상승한 탓이다.
여기에 1년 전 유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포인트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요인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국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포인트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는 등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무도 79.5% 올랐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수요 증가와 작황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 이전글물가비상, 무너진 생활 물가에 서민경제 악화 우려.. 25.02.06
- 다음글농경연, 10년간 식량용 쌀 소비량 15% 감소할 전망.. 25.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푸틴 러시아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양…
해울그룹 2025-04-22
-
이재명, 호남을 AI와 미래 모빌리티·금융산업 등 '경…
해울그룹 2025-04-24
-
우리군 정찰위성 발사, 정상궤도 진입 후 지상국과 교신…
해울그룹 2025-04-22
-
한국군 정찰위성, 美 플로리다서 발사..영상레이더 활용…
해울그룹 2025-04-21
-
특전사 김형기 중령, “‘대통령 지시다, 의원들 끌어내…
해울그룹 2025-04-21
-
일본 쌀값 폭등, 농협 국산 쌀 22톤 일본에 수출..…
해울그룹 2025-04-21
-
서울시, 서울도심 발생 싱크홀에 따른 예방 및 대책 마…
해울그룹 2025-04-23
-
이재명,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대선 전 선고'는 …
해울그룹 2025-04-23
-
이재명, 코스피 5000시대 만들겠다..회복과 성장으로…
해울그룹 2025-04-21
-
가난한 이들의 벗,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21일 …
해울그룹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