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는 떨어지는데 가계부채 금리는 올라.. > 금융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금융뉴스 시장금리는 떨어지는데 가계부채 금리는 올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7-19 20:29

본문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이상하다. 


시장금리는 떨어지는데 가계부채를 관리하는 금융당국 압박에 은행권이 금리를 올리고 있다.


짧게는 일주일 간격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다. 


시장 흐름에 역행하는 '관치(官治) 금리'가 시장 혼란을 키우고 있고 0.1%포인트(P)의 금리가 아쉬운 금융소비자에겐 불필요한 부담만 지우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날부터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변동·고정형(혼합형)금리를 모두 0.2%P씩 올린다. 


앞서 국민은행은 지난 3일 주담대 금리를 0.13%P, 11일 전세대출 금리를 최대 0.2%P 인상했다.


신한은행은 오는 22일부터 은행채 3년물과 5년물을 기반으로 하는 가계대출 금리를 0.05%P 인상할 계획이다. 


지난 15일 금리를 인상한 지 일주일만이다. 지난 12일 금리를 올린 우리은행도 오는 24일부터 아파트담보대출 중 '5년 변동' 상품의 대출금리를 추가로 0.20%P 올릴 계획이다. 


지난 1일 주담대 금리를 최대 0.2%P 인상한 하나은행도 추가 인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주요 은행이 잇달아 금리를 올린 것은 가계부채 관리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시장금리의 빠른 하락 속도 때문이다. 


지난 16일 고정형 주담대 금리를 산정에 쓰이는 은행채 5년물의 금리는 3.312%로 지난달 말과 비교해 0.138%포인트(P) 하락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2022년 4월 이후 최저치다. 2022년은 연초 1.25%였던 기준금리가 연말 3.25%(현재 3.50%)까지 급등하던 시기였다. 시장금리가 금리 인상 시작점 수준까지 내려간 셈이다.


빠른 시장금리 하락에 이달초 진행한 은행권의 대출금리 인상 효과는 사라졌다. 


이날 5대 은행의 5년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2.86~5.63%로 은행들의 주담대 인상에도 지난달 말(2.94~5.76%)과 비교해 오히려 금리 하단과 상단이 각각 0.08%P, 0.13%P 하락했다. 


은행권이 눈치를 보며 금리를 또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내년까지 최소 3차례(총 0.75%P) 기준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미 시장에는 1차례 인하가 반영된 것"이라며 "실제 기준금리 인하가 이뤄졌을 때는 영향이 적을 수도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