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무너진 ‘반도체 투톱’.. > 금융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증권주식 연휴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무너진 ‘반도체 투톱’..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21 10:58

본문

추석연휴를 보내고 돌아 온 개미들에게 혹독한 겨울이 돌아 오는 듯 하다.


국내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던 삼성전바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낙폭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0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0.16% 내린 6만3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SK하이닉스는 2.81% 상승한 15만7100원을 기록했다. 앞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추석연휴 직후인 지난 19일 각각 2.02%와 6.14% 하락한 바 있다.


연휴 이후 명쾌하지 못한 주가 흐름은 지난 15일 모건스탠리가 내놓은 보고서가 투자심리 악화를 이끌었기 때문이란 게 증권가의 해석이다.


이 보고서에서 모건스탠리는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26만원에서 12만원으로, 삼성전자 목표가는 기존 10만5000원에서 7만6000원으로 각각 하향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보고서 발간 당시 주가(16만2800원)보다 대폭 낮은 목표주가를 제시하며 투자의견도 ‘비중 축소’로 내렸다. 


사실상 ‘매도’를 권한 셈이다.


여기에 모건스탠리는 한국 테크 업종 투자의견도 ‘중립’에서 ‘주의’로 내려잡았다.


모건스탠리는 메모리반도체 시황이 악화한다는 전망을 한국 반도체 대형주 목표주가 하향의 배경으로 제시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최고 경쟁력을 자랑하는 HBM 분야에 삼성전자가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공급과잉 상황에 빠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HBM이 들어가는 인공지능(AI) 가속기 수요 증가율의 큰 폭 둔화도 점쳤다.


모건스탠리의 이번 보고서가 큰 관심을 끈 배경은 이 증권사가 △3년 전 '겨울이 온다'(Winter is Coming)는 제목을 단 보고서로 반도체 시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비교적 선제적으로 전망한 점 △SK하이닉스 목표 주가를 반토막 이하로 대폭 하향한 점 등 두 가지다.


 증권가에서는 모건스탠리가 3년 전 내놓은 '겨울이 온다' 보고서는 반도체 시황 악화를 비교적 선제적으로 전망했지만, 이번 보고서의 논리는 그리 새롭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과도한 비관론'이란 평가도 뒤를 잇는다.


우선 AI 가속기 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주로 전략·시황을 담당하는 애널리스트들이 미국 빅테크기업들의 경우 막대한 투자의 성과가 나오지 않는 데 따른 주주들의 반발이 AI 투자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분석해왔다.


일례로 윤지호 LS증권 리테일부문 대표(전무)는 “내년부터는 빅테크기업들의 AI 투자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으로 비용도 늘어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7월24일(현지시간) 개최한 2분기 실적 설명 컨퍼런스콜에서 AI 투자에 따른 수익화 시점의 불확실성을 언급한 게 AI 테마의 가파른 조정을 촉발한 바 있다.


글로벌 AI 테마 대장주 격인 엔비디아는 알파벳의 컨퍼런스콜이 진행된 날 6.8% 급락했다.


7월10일 134.91달러로 종가기준 고점을 찍었던 주가는 8월9일엔 98.91달러로 떨어져 100달러가 무너지기도 했다.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회복세를 보이며 19일에는 117.87달러까지 회복했다.


반면 한국 반도체 대형주 주가는 회복하지 못하고 꾸준히 하락했다.


7월 말 종가와 비교하면 삼성전자는 한 달여 만에 24.91%, SK하이닉스는 19.27% 하락했다.


외국인 매도세가 주가 하락을 주도했다. 8월 들어선 후 지금까지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8조137억원어치, SK하이닉스를 1조7405억원어치 팔았다. 


모건스탠리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대폭 하향한 데 따른 반론도 많다. 


증권가의 기존 반도체 업황 전망과 유사한 관측을 반복한 모건스탠리가 종목별 주가 전망은 시장의 흐름과 반대로 내놨기 때문이다.  


우선 반도체업계에선 모건스탠리가 근거로 제시한 ‘HBM 공급 과잉’이라는 말 자체가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반박이 나온다.


HBM 영업은 만들어 놓은 재고를 파는 게 아니라, 주문을 받아 맞춤형으로 생산하기 때문이다.


HBM뿐 아니라 D램 시황도 아직은 악화를 논할 때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최근 과격한 주가 하락이 무색하게 반도체 업종의 피크아웃(정점통과)을 가리키는 데이터는 아직 부재하며 단기적으로 오는 27일(현지시간)의 마이크론 실적 발표, 다음달 초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까지 확인한 뒤에 업종에 대한 방향성을 논하는 게 적합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는 경쟁사들에 비해 안정적인 공정 미세화로 성능과 제조 원가 측면에서의 우위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공정 난이도가 급등하고 경쟁사들의 개발 난조 소식이 난무하는 현재의 시기에는 귀한 역량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