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QR 시스템 11월까지 구축.. > 식품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식품산업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QR 시스템 11월까지 구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19 14:06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 핵심정보를 소비자들이 푸드 QR 시스템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올 11월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한국식품안전협회(회장 오규섭)는 지난 10일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식품안전정책 추진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과 ‘국내 식품의 세계화를 위한 식품안전 담보사업’을 주제로 2024년 식품안전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김성곤 식약처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식품 포장지에 표시된 원재료와 영양성분 등 핵심정보를 소비자들이 푸드 QR 시스템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올 11월까지 구축하고, 수출 식품은 과학적 분석과 적극적인 규제 당국 간 협상을 통해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상배 식품안전관리인증원장은 “국가기관인 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수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원료와 완제품 등의 공급망 관리,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한국에서 생산된 제품임을 증명해주는 K-Food & Safety 식품안전 담보사업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정덕화 경상대 교수는 식품안전 담보사업에 농산물 GAP 제도를 활용,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했으며,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은 “식품안전정책이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번 포럼이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용 식품안전정보원장은 “대면 중심의 식품 소비 행태가 디지털화되는 추세에 맞춰 QR 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식품안전정보 시스템 고도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박기종 변호사는 “식품 원료도 중대 시민재해 적용 대상으로 책임자들은 안전보건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해 중대재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재식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전무는 해외에서 이미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증받은 원료나 건강기능식품은 글로벌 규제 조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대상 김승태 상무는 “한류 열풍으로 K-푸드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커지고 수출도 활성화되고 있으나 수입국의 규제도 강화되고 있어 정책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식품안전협회 관계자는 “협회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정부의 식품안전정책에 적극 부응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