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뉴스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의 대명사, 고대역폭메모리(HBM) 파급력 갈수록 커져.. 초호황기 앞당겨..
페이지 정보
본문
인공지능(AI) 메모리 반도체의 대명사가 된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파급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HBM 수요 증가가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반도체 업계의 초호황기를 앞당기는 모습이다.
18일 관련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늘어나는 HBM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CAPA)의 상당 부분을 HBM에 할당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D램 생산능력의 30%를, SK하이닉스는 20%를 HBM에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HBM은 D램을 여러개 쌓은 뒤 미세한 구멍을 뚫고 연결해 만든다.
고난이도의 패키징 공정을 거쳐야 하는 만큼 수율이 50~60% 수준에 불과하고 웨이퍼 투입량도 범용 D램보다 60% 많다.
HBM 출하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범용 D램 생산능력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HBM은 소수 고객만 찾는 제품이었지만 빅테크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를 경쟁적으로 늘리면서 메모리 업계가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 판매량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범용 D램 가격까지 함께 오르면서 반도체 업계가 초호황기에 접어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D램 시장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24.8% 증가한 229억 달러(약 31조 원)로 집계됐다.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13~18% 상승했기 때문이다.
하반기 메모리 업계가 5세대 HBM(HBM3E) 양산을 본격화하면서 범용 D램 수급은 더욱 빡빡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렌드포스는 3분기 D램 ASP 상승률을 8~13%로 전망했으며, 대만 외신은 SK하이닉스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제품 가격을 15~20% 올렸다고 보도했다.
삼성전자와 마이크론 등 메모리 기업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할 경우 D램 가격 상승폭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 이전글반도체 시장 변동성 최고조..한달새 D램 시장 급제동 삼성·SK 3분기 실적 전망 줄지어 하향 조정 24.09.17
- 다음글반도체 업계, 고질적인 인력난 심화..국내 기업들 고민도 깊어져.. 24.08.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저렴한 비용 고성능 AI, 딥시크 도입에 관심 보이는 …
해울그룹 2025-02-01
-
삼성전기, 차세대 반도체 기판으로 주목 받는 유리기판 …
해울그룹 2025-03-11
-
스마트폰, 대용량 배터리 시대 열린다..리튬 이온 전지…
해울그룹 2025-04-15
-
중국, 슈퍼컴보다 '1000조배' 빠른 양자컴 개발..
해울그룹 2025-03-05
-
머스크, 오픈AI 매입 제안에 올트먼은 단칼 거절..
해울그룹 2025-02-11
-
세계녹색디자인기구(WGDO), 국내 ICT기업인 멀티랩…
해울그룹 2025-01-23
-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카드 RTX 5090, 출시 첫…
해울그룹 2025-02-01
-
반도체기업 세액공제율 5%p 상향…‘K칩스법’ 기재위 …
해울그룹 2025-02-11
-
생성형 인공지능(AI) 구현할 토종 AI 반도체 상용화…
해울그룹 2025-04-19
-
삼성전자, HBM 5세대 개선 제품 1분기 말 공급..…
해울그룹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