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구현할 토종 AI 반도체 상용화 임박.
페이지 정보
본문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구현할 토종 AI 반도체 상용화가 임박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퓨리오사AI가 개발한 신경망처리장치(NPU)가 LG AI연구원 성능 평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파악됐다.
퓨리오사AI는 '레니게이드'로 불리는 NPU를 개발하고 LG AI연구원이 만든 초거대언어모델(LLM) '엑사원' 활용 가능성을 테스트해왔는데, 양호한 성능을 보여 공급에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이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성능 테스트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면서 “몇 가지 사항을 더 확인할 필요가 있어 LG AI연구원이 추가 검증에 돌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테스트 최종 통과 가능성은 높은 편으로, 퓨리오사AI가 LG AI연구원에 레니게이드를 연말쯤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퓨리오사AI는 2017년 설립된 AI 반도체 설계 스타트업이다. 1세대 NPU '워보이'와 2세대 레니게이드를 출시했다.
NPU는 그래픽처리장치(GPU)보다 전력 소모량이 적고, AI 추론과 연산에 장점이 있는 반도체다.
AI 반도체 시장은 엔비디아의 GPU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는데, 퓨리오사AI는 NPU를 앞세워 글로벌 무대에 도전장을 던졌다.
반도체 설계 경쟁력을 인정 받아 최근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플랫폼(메타)이 인수를 제안했지만 이를 거절했다.
퓨리오사AI 반도체가 LG 엑사원에 최종 탑재되면 AI 반도체 독립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엑사원을 포함한 LLM은 그동안 미국 엔비디아 GPU를 기반으로 작동해왔다.
엔비디아의 AI 시장 점유율은 90%에 육박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퓨리오사AI NPU가 엔비디아 GPU를 대체하는 지, 생성형 AI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는 정도인 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국산 NPU의 첫 생성형 AI 탑재, 즉 AI 반도체 상용화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변화의 시작을 알리는 첫 단추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NPU 자체는 그동안 국내 다수 기업이 개발했지만, LLM과 같은 생성형 AI에서 상용화된 사례가 없다.
퓨리오사AI가 LG AI 연구원에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면, 국내에서도 AI 반도체 생태계가 형성될 전망이다.
국내 대기업을 고객사로 확보, 대규모 공급 물꼬를 트게 된다.
또 LG AI연구원은 퓨리오사AI에서 AI 반도체를 조달, 공급망 다변화로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퓨리오사AI는 오는 4분기부터 레니게이드를 대량 생산할 계획이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최근 국회에서 열린 행사에서 “레니게이드를 4분기부터 대량생산할 것”이라며 “대량생산은 (웨이퍼) 수천장에서 수만장씩 찍어내기 시작한다는 것으로, AI 반도체 제품이 고도화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양산은 곧 고객사 확보를 뜻해 상용화 가능성을 더 높이고 있다.
다만 백 대표는 구체적인 고객사를 공개하지 않았다.
퓨리오사AI와 LG AI연구원 측은 레니게이드 성능 테스트 통과 및 공급 여부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세계녹색디자인기구(WGDO), 국내 ICT기업인 멀티랩…
해울그룹 2025-01-23
-
엔비디아의 최신 그래픽 카드 RTX 5090, 출시 첫…
해울그룹 2025-02-01
-
중국, 슈퍼컴보다 '1000조배' 빠른 양자컴 개발..
해울그룹 2025-03-05
-
스마트폰, 대용량 배터리 시대 열린다..리튬 이온 전지…
해울그룹 2025-04-15
-
삼성전자, HBM 5세대 개선 제품 1분기 말 공급..…
해울그룹 2025-02-02
-
반도체기업 세액공제율 5%p 상향…‘K칩스법’ 기재위 …
해울그룹 2025-02-11
-
삼성전기, 차세대 반도체 기판으로 주목 받는 유리기판 …
해울그룹 2025-03-11
-
생성형 인공지능(AI) 구현할 토종 AI 반도체 상용화…
해울그룹 2025-04-19
-
저렴한 비용 고성능 AI, 딥시크 도입에 관심 보이는 …
해울그룹 2025-02-01
-
머스크, 오픈AI 매입 제안에 올트먼은 단칼 거절..
해울그룹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