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 (Tether) > 사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테더 (Tether)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4-09-04 05:35

본문

테더 (Tether)

▲테더 (Tether)



테더리미티드(Tether Limited)에서 발행하는 암호화폐로 발행사 Tether Limited에서는 해당 토큰을 페그되어 있는 화폐와 1:1 비율로 교환해준다고 주장한다. 


이걸 스테이블(Stable, 안정적) 코인이라고 부르며, 1테더는 1달러와 페그되어있으므로 1달러의 가치를 가진다.


비트코인/Omni 프로토콜, 이더리움/ERC20, Tron/TRC20 등의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유통된다.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는 을 포함한 실물 화폐의 입출금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에 이 토큰으로 대체한다.


초기에는 미국 달러와 1:1로 대응하는 토큰인 USDT만이 존재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류가 늘어나 현재는 아래와 같은 종류의 테더 토큰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량에서 USDT가 압도적인 관계로, 테더라고 하면 보통 USDT를 말한다.


 ▪︎ USDT: 미국 달러에 페그된 테더 토큰.

 ▪︎ EURT: 유로에 페그된 테더 토큰.

 ▪︎ CNHT: 역외 인민폐(Offshore Renminbi, 离岸人民币)에 페그된 테더 토큰.

 ▪︎ XAUT: 1 oz t (약 31.10g)의 금괴에 페그된 테더 토큰.


1개의 테더는 1달러에 상당하는 가치[4]의 예치금으로 뒷받침된다고 한다.


테더를 교환하는 방법은 직접 테더사에 달러를 입금하고 교환받거나 자회사인 비트파이넥스를 통해 입금 후 교환하거나, 또는 자국의 법정화폐를 통해 비트코인을 매수한 후 이를 테더마켓에서 매수, 매도하여 얻을 수 있다.


그러면 테더 발행사는 달러 시세만 따라가는 암호화폐를 가지고 어떻게 수익을 내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먼저 달러를 받은 후 그걸 펀드, 대체에너지, 유가증권시장, 암호화폐 등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큰 수익원이다.


다음으로는 테더를 달러로 출금할 때, 출금자는 테더 측에 1%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즉, 은행처럼 수수료 장사를 하는 것이다.


달러를 입금하고 테더를 받을 때는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