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3개월 만에 0.6%p 대폭 내린 1.5%로.. >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3개월 만에 0.6%p 대폭 내린 1.5%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입력 : 2025-03-18 07:40

본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3개월 만에 0.6%p 대폭 내린 1.5%로 낮춰 잡았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강행한 '관세 전쟁' 여파 등이 반영된 것으로, 미국발 관세전쟁의 직접 타격을 받는 캐나다와 멕시코를 제외하면 주요국 중 하락 폭이 가장 컸다. 


내수 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대외적인 악재까지 겹치면서 저성장 우려가 커지고 있다.


OECD는 현지시각 1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가 1.5%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불과 3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전망치(2.1%)보다 0.6%나 낮아진 것이다. 


OECD가 예측한 성장률 전망치는 한국은행(1.5%)과 같고 정부(1.8%)와 한국개발연구원(KDI·1.6%)보다 낮은 수준이다.


같은 보고서에서 전 세계 경제 성장률도 하향 조정됐지만, 하락폭은 0.2%p(3.3%→3.1%)에 그쳤다.


G20 평균 성장률도 세계 성장률(3.3%→3.1%)과 같았다.


트럼프 행정부 들어 각을 세우고 있는 중국은 오히려 0.1%p 상향(4.7%→4.8%)됐다.


OECD는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와 가계 지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OECD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크게 내린 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로 지정학·정책적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봤기 때문이다. 


OECD는 "한국의 성장세는 유지될 것이나 기존 예상보다는 완만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반면, 한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지난해 12월 1.8%에서 0.1%p 오른 1.9%로 상향 조정했다.


OECD는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많은 국가에서 상품 물가가 올랐다"면서 "한국과 일본, 스페인에서 먹거리 물가가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OECD는 미국이 관세 대상국으로 지적한 캐나다와 멕시코의 성장률에 대해 종전 대비 각각 1.3%p, 2.5%p 낮아진 0.7%, -1.3%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02- 2025 해울그룹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