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쌀 소비량 줄면서 재고 늘고 쌀값은 하락하고..속 타드는 농민들
페이지 정보
본문
쌀값이 곤두박질 치고 있다.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재고는 늘고 쌀값은 하락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해서다.
쌀값 하락세를 잡기 위해 일부 농민은 정성껏 키워온 논을 갈아엎기까지 했다.
쌀값 폭락 사태는 ‘현재진행형’이다.
세계 시장의 불황과 전쟁 등의 여파로 물가는 가파르게 치솟고 있으나 유독 쌀값만은 내림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올해 초 80㎏(한 가마)에 20만원 대였으나 이달 17만원 대로 떨어졌다.
지난 5일 기준 산지 쌀값은 20㎏에 4만4619원, 한 가마는 17만8476원으로 조사됐다.
쌀값 폭락의 가장 큰 원인은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통계청 조사에서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평균 56.4㎏로, 통계를 시작한 1962년 이래 가장 적었다.
하루 쌀 소비량은 154.6g으로 즉석밥 하나 보다 적은 셈이다.
30년 전인 1993년의 소비량인 110.2㎏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서 쌀농사를 짓는 농업인의 속은 그야말로 새까맣게 타들어 간다.
‘풍년’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웃지 못한다고 했다.
정부는 올해 3차례 대책을 통해 15만t의 쌀을 사들이고 있지만 쌀값 하락세를 멈추지는 못했다.
여기에 농협중앙회는 1000억원을 들여 ‘쌀 소비 촉진 운동’으로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지만 농업인들은 소득 변화를 체감하지 못한다는 데 입을 모았다.
농업인들은 정부가 하루빨리 쌀 추가 격리 등을 추진해 쌀값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의 하락세가 이어지면 역대 최악의 가격 폭락을 기록한 2022년보다 상황이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22년 9월25일 산지 쌀값은 한 가마에 15만5016원을 기록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는 쌀 소비 감소 폭이 예상보다 커서 판매 자체가 감소하다 보니 전반적으로 쌀값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정부 매입과 농협 대책 추진 상황에 따른 산지 쌀값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추가 대책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인천 송도 아파트 주차장 차량에서 불, 주민 100여명 대피 소동.. 24.08.17
- 다음글시청앞에 다시 모인 시민들, 친일 윤석열 퇴진하라.. 24.08.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청주시 소재 고등학교에서 10대 지적장애인 흉기 들고 …
해울그룹 2025-04-28
-
인천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서 맨발 걷기 하던 70대 여…
해울그룹 2025-04-28
-
환경부, 꽃사슴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농작물 피해 및 …
해울그룹 2025-04-28
-
대구 함지산 산불 강풍에 확산하면서 대응3단계 격상..
해울그룹 2025-04-28
-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산불 발생..산림당국 대응…
해울그룹 2025-04-28
-
경찰, 한덕수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 착수..헌법재판관 …
해울그룹 2025-04-28
-
러, 내달 8∼10일 전승절 80주년 기념 휴전 선언.…
해울그룹 2025-04-28
-
서울시버스노조조합원들 파업 찬성, 시내버스 30일 멈출…
해울그룹 2025-04-28
-
경기도, 대북전단 기습 살포한 납북자 가족단체 수사 착…
해울그룹 2025-04-2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 월드IT쇼 역대 최다 2억…
해울그룹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