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금융 금융감독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융사 대상 현장점검 실시
페이지 정보
본문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사업장의 재구조화·재정리계획이 미흡한 금융사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 결과에 따라 다음 달부터 실질적으로 경·공매 물건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현장점검이 금융당국의 실질적 ‘옥석 가리기’로 평가되는 만큼, 부실 PF대출 비중이 큰 저축은행, 캐피탈사 등 제2금융권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9일 금융권 따르면 금감원은 부실 PF사업장 처리 계획을 미흡하게 제출한 금융사를 대상으로 현장검사를 실시한다.
앞서 금융사는 당국의 강화된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자체 평가를 실시했다.
당국은 새로운 부동산PF 사업성 평가기준을 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 등 4등급으로 구분했다.
양호·보통 등급의 사업장은 금융사들이 자율적으로 관리 가능하지만, 유의 등급은 재구조화·자율매각을 해야 하고 부실우려 등급은 상각·경공매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정리해야 한다.
이번 현장점검 대상은 부실 PF사업에 대한 재구조화·정리계획을 제출한 금융사 중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금융사다.
아직까지 몇 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하는지, 어떤 업권부터 나설지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PF대출과 토지담보대출이 높은 제2금융권 중심의 현장점검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타금융사보다 부실 PF대출 비중이 큰 저축은행과 캐피탈사들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현장검사를 통해 사업장별 정리 계획이 확정되면, 다음 달부터는 실질적으로 경·공매 물건이 시장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부실사업장 정리는 금융사가 해당 사업장에 추가 충당금을 쌓아 유지하거나 경·공매에 넘겨 새로운 주인을 찾는 방식이다.
저축은행 등 금융사들은 원금 손실 우려가 있는 경·공매보다는 충당금을 쌓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지만, 금감원은 경·공매를 통한 부실 정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금감원은 당초 부동산 PF사업장 중 2~3%가 경·공매에 나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정리 규모가 예상보다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2금융권 중심으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고 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현장점검 대상이 재구조화와 재정리계획이 미흡한 금융사인 만큼 검사기간이 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현장점검 이후 이어질 부실사업장 정리의 방식과 강도에 업계의 관심이 더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 이전글부동산 개발사업에 ‘프로젝트 리츠(부동산투자회사)’ 도입하기로.. 24.08.20
- 다음글새마을금고 PF부실 또 터지나..부산 옛 한진중공업 부지 개발사업 ‘파행’.. 24.07.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프리노스 펜더 (Prinoth Panther), 다기능…
해울그룹 2025-01-31
-
위기의 건설업, 석달새 건설사 160개 망했다..
해울그룹 2025-04-03
-
정부, 부동산 PF '한시적 금융 규제 완화’ 조치 연…
해울그룹 2025-04-10
-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급물살에 K-건설기계, 재건 사업…
해울그룹 2025-02-14
-
길어지는 건설경기 불황, 위기의 건설업계 도미노 부도로…
해울그룹 2025-04-21
-
파산공포에 내몰린 건설업계, 또 번진 '4월 위기설'.…
해울그룹 2025-03-14
-
김포도시관리공사의 행정권력 가로채기 논란, 나진감정지구…
해울그룹 2025-04-22
-
건설업계 '7월위기설' 확산, 올해 종합건설업체 기준 …
해울그룹 2025-04-08
-
DL이앤씨·GS건설, 영업익 전년 대비 20% 이상 증…
해울그룹 2025-04-16
-
안강건설(시공능력평가 116위), 회생절차(법정관리) …
해울그룹 2025-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