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상식 생강에 핀 곰팡이 1급 발암물질, 절대 먹으면 안되는 이유..
페이지 정보
본문
생강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식재료다.
김장 양념과 여러 가지 소스는 물론, 겨울철에는 차로도 많이 끓여 마신다.
생강 속 진저론과 쇼가올은 살균작용을 통해 감기 증상이 완화되도록 도우며 항산화 효과도 갖고 있다.
생강을 건강하게 먹기 위해서는 손질할 때 곰팡이가 피었는지 잘 확인해야 한다.
이미 곰팡이가 피었다면 ‘아플라톡신’과 같은 발암 물질이 들어있을 위험이 있다.
아플라톡신은 생강에 핀 곰팡이로 인해 생성되는 곰팡이 독소로,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해당 물질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아플라톡신은 간암을 유발하고, 출혈 괴사, 부종, 졸음 등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생강은 수분이 많아 쉽게 부패할 수 있으므로 주변 습도와 온도를 잘 맞춰 보관해야 한다.
지나치게 온도가 낮거나 습한 곳에 오래 두면 상할 위험이 높다.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연구팀이 생강을 6개월 간 보관하면서 저장조건별로 발생하는 곰팡이와 곰팡이 독소를 분석한 결과, 10도 이하 온도에서 부패되기 시작하고 습도 90%에서 부패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총 곰팡이 수는 저장 조건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한 생강에서는 곰팡이 독소를 만들어 내는 붉은 곰팡이가 발견됐다.
가정에서 적정 온도·습도를 맞추기 어렵다면 부패 여부를 자주 확인하거나 잘게 다진 뒤 냉동고에 얼려 두는 것도 방법이다.
이미 생강이 썩었거나 곰팡이가 피었다면 즉시 버리도록 한다.
곰팡이가 핀 부분만 도려내거나 물에 끓여 먹어서도 안 된다.
보이지 않을 뿐, 곰팡이 독소는 여전히 생강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곰팡이 독소는 열에 강해 끓이거나 튀겨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이밖에 손질하기 위해 생강을 잘랐을 때 단면 색깔이 진하거나 곰팡이가 보이는 경우, 진물이 묻어 나오는 경우에도 먹지 말고 버려야 한다.
- 이전글젖은 수건은 바로 세탁하거나, 1~2일 말린 뒤 모아서 세탁.. 24.07.26
- 다음글달걀 삶을 때 터지지 않게 잘 삶으려면 소금과 식초를 이용하세요 24.07.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대장암 초기에 나타나는 주요 증상과 핵심 체크 중요사항…
해울그룹 2025-04-25
-
진화하는 편의점 택배, 저럼하고 접근성도 뛰어나..가성…
해울그룹 2025-04-28
-
22일(화요일), 전국 대체로 흐리고 비..일부지역은 …
해울그룹 2025-04-21
-
김민재, 다가오는 여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니폼을 입…
해울그룹 2025-04-27
-
중풍, 신경통, 관절염 등의 질환에 사용되는 부자의 효…
해울그룹 2025-04-28
-
제철 주꾸미 맛있게 먹는 방법과 섭취시 주의사항..
해울그룹 2025-04-25
-
25일 금요일, 바람 강해지고 아침 기온 쌀쌀..주말엔…
해울그룹 2025-04-24
-
계피의 건강효능..
해울그룹 2025-04-27
-
열무의 효능..
해울그룹 2025-04-24
-
칡뿌리(갈근)의 효능..
해울그룹 2025-04-27